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반응형
LIST
먼저, 이전 포스트에서 다뤘던 branch의 내용과 이어지기 때문에 이전 포스팅을 참고한다. 2023.03.03 - [분류 전체보기] - [Git] Git Branch / fast forward [Git] Git Branch / fast forward Git Branch 독립적으로 어떤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개념 각각의 Branch는 다른 Branch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독립적이다) Git Branch 종류 메인 브랜치 : 배포할 수 있는 수준의 안정적인 Branch 토픽 브랜 saying-me.tistory.com Git Merge $git checkout master $git merge like_feature master branch로 전환하고 like_feature branch를 master에..
Git Branch 독립적으로 어떤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개념 각각의 Branch는 다른 Branch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독립적이다) Git Branch 종류 메인 브랜치 : 배포할 수 있는 수준의 안정적인 Branch 토픽 브랜치 : 기능 추가나 버그 수정과 같은 단위 작업을 위한 Branch Git Branch 생성 $git branch branch_name branch_name 에 만들고자 하는 브랜치 이름을 임의로 적어준다. Git Branch 전환 $git branch $git checkout branch_name $git checkout /* 16진수로 이루어진 스냅샷 해시 */ $git branch 현재 존재하는 브랜치 $git checkout checkout 뒤에 나오는 브랜치 이름으..
$git status $git log $git status Staging file들의 상태 확인 $git log .git 레퍼지토리에 존재하는 커밋 기록(히스토리) 확인 저장소 반영 내역 확인 $git diff $git diff commit된 파일 중 변경된 사항을 비교할 때 대표적인 log 옵션들 $git log -p -2 $git log --stat $git log --pretty=oneline $git log --graph $git log -S function_name -p, --patch 각 commit의 수정 결과를 보여주는 diff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n 상위 n개의 commit만 보여준다. --stat 어떤 파일이 commit에서 수정되고 변경되었는지, 파일 내 라인이 추가되거나 삭제..
이전 포스팅에 이어 이번엔 Git에 저장소를 반영하는 것을 포스팅해보려 한다. ⬇️ 이전 포스팅 ⬇️ 2023.03.03 - [분류 전체보기] - [Git] Git 깃 저장소 생성 / 파일 생성 / 관리 상태 확인 [Git] Git 깃 저장소 생성 / 파일 생성 / 관리 상태 확인 기존 디렉토리 이용 Git을 이용할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후 명령어 실행한다. $git init ls -al을 이용해 해당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들을 나열해본다. $ls -al Git 파일 생성 파일을 생성하고, 해당 파일 saying-me.tistory.com 저장소 반영 Staging area(준비 영역)에 있는 파일들을 저장소에 반영한다. 생략해도 되지만, 반영한 내용에 대한 설명(메시지)를 나중에 관리에 용이하도록 기입한..
기존 디렉토리 이용 Git을 이용할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후 명령어 실행한다. $git init ls -al을 이용해 해당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들을 나열해본다. $ls -al Git 파일 생성 파일을 생성하고, 해당 파일을 staging area로 보낸다. add 명령어를 사용한다. $git add sample.js 만약 한 번에 추가할 파일이 많다면 현재 폴더를 대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git add . Staging 상태 확인 staging area의 어떤 파일이 변경되었는지 등, 파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status 명령어를 사용한다. $git status 다음으로는 생성된 파일들을 저장소에 반영하는 포스팅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 다음 포스팅 ⬇️ 2023.03.03 - [분류 전체..
Git 설치 1. Git 설치 여부 확인 Linux 또는 macOS 환경에서는 대부분 이미 Git이 설치되어 있다. Terminal 실행 후, git을 입력해본다. $git usage: git [-v | --version] [-h | --help] [-C ] [-c =] [--exec-path[=]] [--html-path] [--man-path] [--info-path] [-p | --paginate | -P | --no-pager] [--no-replace-objects] [--bare] [--git-dir=] [--work-tree=] [--namespace=] [--super-prefix=] [--config-env==] [] 만약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아직 설치가 되지 않은것이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