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 Non-Fungible Token) 는 정말로 돈이 될 수 있을까?
나는 가상화폐라는 시스템에 관심이 많다.
하지만 관심과는 별개로 공부는 하고 싶지 않았고
어쩌면 그냥 운좋게, 손쉽게 돈을 벌고 싶어했는지도 모르겠다.
퇴사 이후 24시간의 여유가 생기면서 내가 하고싶은 것과 해야만 하는 것들을 적절히 섞어가며
조율해나가던 중, 하고싶은 것 중 하나였던 'NFT가 어떤건지 알아보기' 를 실천하게 되었다.
혹시나 이 글을 보게 되는 누군가는
'이거 정말 미친 재테크인데?' 라며
갑자기 NFT에 혹하게 되어 오늘 하던 일을 때려치고 NFT 만들기에 매진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주식, 코인을 포함한 모든 재테크가 성공한 사례도 있는 반면 아닌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적절히 그리고 신중한 공부가 필요하리라고 생각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선 사례 몇 가지를 기록해보려고 한다.
첫째로 가장 높은 가격으로 낙찰된 세 가지 작품을 보겠다.
1.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
매일: 첫 5000일
사진출처 https://onlineonly.christies.com/s/beeple-first-5000-days/beeple-b-1981-1/112924
Beeple (b. 1981)
Beeple (b. 1981)EVERYDAYS: THE FIRST 5000 DAYStoken ID: 40913wallet address: 0xc6b0562605D35eE710138402B878ffe6F2E23807smart contract address: 0x2a46f2ffd99e19a89476e2f62270e0a35bbf0756non-fungible token (jpg)21,069 x 21,069 pixels (319,168,313 bytes)Minte
onlineonly.christies.com

위의 그림은
디지털 아티스트 Mike Winkelmann 이 Beeple 이라는 예명으로,
2007년부터 13년 반의 기간 동안 매일 그린 디지털 아트를 모아 하나의 JPG 이미지 로 만들어낸 작품이다.
이 디지털 아트는 NFT로 발행되어 경매가 USD 100 으로 시작하여
경매 업체 크리스티에서 USD 69,346,250 에 낙찰되었는데, 이는 한화로 약 890억원의 가격이 된다.
Christies 에서 자신의 디지털 작품이 경매되는 과정에 따른
Beeple (Mike Winkelmann)의 생생한 리액션 영상이다.
마지막에 그가 기쁨에 겨워 외치는 한 문장이 인상적이다.
"I'm going to Disney world!"
2. Portrait of an Artist (Pool with Figures)
예술가의 초상
David Hockney (b. 1937)
Portrait of an Artist (Pool with Two Figures) represents a culminating apex of two of the artist’s most celebrated motifs—the pool and the double portrait. An immediately recognizable and iconic image in David Hockney’s diverse oeuvre, Portrait of an
www.christies.com

영국의 미술가 David Hockney가 그린 팝아트 작품으로,
영국에서는 사치품으로만 여겨졌던 수영장이 LA에서는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것에 놀라 만들어졌다.
수영하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수면이 시시각각 바뀌는 모습을 파란색과 하얀색의 선으로 구성해 표현해냈고,
물 속에 있는 사람의 모습은 물의 왜곡으로 일그러져있지만, 밖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모습은 선명한 것을 대비했다.
USD 90,312,500 에 낙찰되었고, 이는 한화로 약 1160억원이다.
3. Rabbit
토끼
Jeff Koons (b. 1955)
Literature A. Wallach, “The New Art is SoHo Cool,” Newsday, October 1986, (another example illustrated in color). K. Larson, “Masters of Hype,” New York, November 1986, p. 100 (another example illustrated). R. Kleyn, “Nuovi Concetti,” January,
www.christies.com

Jeff Koons 의 스테인리스 스틸 조각 작품이다.
조각품을 바라보는 동시에 그 안에 비춰지는 우리의 모습을 볼 수 있고,
이는 결국 우리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어 사회적 논평이자 비판의 역할을 의미한다고 한다.
USD 91,075,000 에 낙찰되었고, 생존하는 예술가의 작품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고 한다.
한화로 무려 약 1170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가격이다.
'진품' 이라는 것은 그야말로 엄청난 의미와 가치를 가지게 된다.
유명한 브랜드의 제품은 백화점에서 진품을 구매할 수 있고,
유명한 예술가의 작품은 전시회 또는 박물관에서만이 진품을 눈에 담을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소개했던 디지털 아트의 경우는
어마어마한 값을 지불하고 진품을 소유하게 된 소유자와 동일하게,
우리도 온라인에서 손쉽게 진품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진품'이라고 해서 우리가 무료로 바라보고 있는, 동일한 작품과 다를 게 무엇이 있는가?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디지털 아트가 수백억에 달하는 가격으로 판매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대한 고찰은 앞으로의 포스팅에서 이어 작성해보려고 한다.